Design Thinking - Learning Facilitation

Design Thinking 설명 및 배경이론

디자인 씽킹은 디자이너들이 무엇인가를 디자인하며 문제를 풀어가던 사고방식대로 사고하는 방법입니다. 캐나다 토론토 대학의 로저 마틴(Roger Martin) 교수는 자신의 책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에서 디자인 씽킹은 직관적 사고나 분석적 사고의 한쪽이 아니라 이에 대해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사고법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명확하게 정리되지 않은 사용자의 니즈(needs)를 이해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찾아내기 위해, 공감적 태도(mindset)를 활용하는 일종의 복잡한 문제 해결에 대한 접근법입니다.

이처럼 Design Thinking은 제품, 서비스부터 비즈니스 모델과 프로세스에 이르는 다양한 형태의 문제 해결 에 적용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혁신 프로세스 입니다.

Design Thinking - Learning Facilitation 소개
(Design Thinking 창의적 문제해결 학습 과정)

회사 내에서 문제해결 과정을 진행하는 회사 중 도구와 단계의 나열을 넘어서 ‘왜’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누구’를 위한 문제해결인지를 명확히 하여 시간과 자원이 투자된 솔루션이 사용자들에게 충분한 가치를 제공하길 Design Thinking 창의적 문제해결 학습 과정을 소개합니다. 제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 보고서를 제출 받는 상사, 회의에 참석하는 조직원, 새로운 시스템 적용을 통해 영향을 받는 직원, 이 모든 이들을 Design Thinking은 사용자라고 칭합니다. Design Thinking 문제해결 학습 과정을 통해 조직원들이 보다 사용자 중심적인 사고로 사용자들과 공감하고, 공감된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문제를 새롭게 정의하여 발빠르게 검토가 가능한 솔루션을 도출하는 프로세스, 마인드셋, 실무 도구들을 학습합니다.

교육목표

Design Thinking의 단계별 마인드셋, 철학, 프로세스, 도구들을 학습하여 추후 문제해결에 적용

기대효과

  1. 창의적인 솔루션 도출에 대한 자신감이 생긴다
  2. 문제해결을 위한 명확하면서 유연한 프로세스를 학습한다
  3. 실질적인 도구들을 현업에 적용한다
  4. 팀이 함께 소통하고 협업하는 기초적인 마인드와 도구들을 학습한다

교육 대상 및 시간

  • 대상 : 팀과 함께 소통하여 솔루션을 도출해야 할 직장인 (사원부터 임원까지)
    팀과 함께 아이디어 도출 및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든 사람
  • 교육시간 :

    특강 (2시간, 3시간) 과정 (4-16시간).
    * 과정 진행 시 사전 협의를 통해 실습 주제 선정

Design Thinking - Learning Facilitation _8H 커리큘럼 예시